전체 기자
닫기
백주아

코로나발 고용충격, 거리두기 완화에 회복세 진입…불확실성 '발목'

제조업·취약계층 취업자 감소세는 '리스크'

2020-06-10 17:39

조회수 : 2,78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백주아 기자] 코로나19 확산으로 3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급감했지만 감소폭이 둔화된 것은 고용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지난달 초 생활 속 거리두기로의 방역 전환과 함께 경제 활동이 재개되고, 정부의 소비쿠폰·긴급재난지원금 등과 같은 정책 대응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다만 제조업 취업자 수 감소세 확대, 취약계층 일자리 축소 등의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 고용시장 조기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5월 고용동향'을 보면 5월 취업자는 1년 전에 비해 39만2000명(-1.4%) 감소해 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전달인 4월(-47만6000명)에 비하면 감소폭이 크게 둔화됐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에서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여전히 크게 악화된 상황이긴 하지만 4월과 비교하면 5월의 고용상황이 개선됐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의 1차 고용시장 충격으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기 시작했다는 평가다. 
 
특히 이달 통계에서 주목할 부분은 고용률은 낮아지고 실업률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통상 고용률이 오르면 실업률도 동반 상승한다. 하지만 코로나19 국면에서 실업률 상승은 그동안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물던 실직자들이 생활속 거리두기 전환 이후 채용 재개 등 경제활동을 다시 시작하면서 실업자로 편입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일자리를 구하려는 의지와 여건이 되살아난 셈이다. 앞서 지난 3월, 4월 두달간 고용률과 실업률은 채용 연기와 실직자의 구직활동 기피로 동시에 하락한 바 있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654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55만5000명(3.5%) 증가했다. 다만 4월(83만1000명)보다 27만6000명 축소됐다. 감소한 인원 중 60%는 취업자, 나머지 40%는 실업자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시휴직자 증가폭이 줄어든 것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취업자 수에 포함되는 일시 휴직자는 102만명으로 작년 5월보다 68만5000명(204.0%)이나 늘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휴업·휴직이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증가폭은 3월(160만7000명), 4월(148만5000명)에 비해 둔화됐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에 따라 중단된 노인일자리 사업의 절반 이상이 재개된 것에 따른 결과다. 일시 휴직자는 무급 휴직이어도 복귀가 확실하고 무급기간이 6개월이 넘지 않을 경우 취업자로 집계된다. 
 
다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다시 늘어나면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코로나19 영향이 늦게 반영된 제조업 취업자는 전년보다 5만7000명 줄었다. 지난 3월(-2만3000명)부터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4월(-4만4000명)에 이어 감소 폭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은 지난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감소가 있다가 올해 플러스 전환했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다시 감소하고 있다"며 "수출입 제한 등으로 자동차·트레일러 중심으로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된 게 가장 큰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임시·일용 등 취약계층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지는 것도 문제다. 종사자별 지위를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39만3000명(2.8%) 증가했다. 반면 임시근로자와 일용근로자는 각각 50만1000명(-10.1%), 15만2000명(-10.3%) 감소하며 내림세가 이어졌다. 
 
10일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 구인정보 게시판의 모습. 사진/뉴시스
 
이에 정부는 11일 열리는 경제중대본회의에서 투자 활성화, 규제혁신 등 민간 일자리 창출 기반 강화방안을 마련해 집중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고용충격에 대응해 5월 두 차례의 경제중대본회의(13일, 20일)를 통해 55만개+α 직접 일자리 공급 등 공공부문 중심 고용충격 대응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또 그간의 고용안정 대책 등을 담은 3차 추가경정예산안이 6월 중 국회에서 조속히 확정되고, 신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세종=백주아 기자 clockwork@etomato.com
  • 백주아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