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하늬

hani4879@etomato.com

적확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한국 노동생산성 증가율 '반토막'

제조업 증가율 7.9%→2.2% '뚝'…반도체·핸드폰 분야 둔화 뚜렷

2019-04-09 15:08

조회수 : 2,00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하늬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절반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수출주력산업이 밀집한 반도체, 선박 업종 등의 둔화가 더욱 뚜렷했다.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도요인 분석' 보고서를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2011~2015) 우리나라 전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1%, 위기 이전(2001~2007)4.2%보다 2.1%포인트 하락하며 증가율이 절반으로 떨어졌다.
 
주요국과 비교하면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폭은 OECD 평균치(0.9%포인트 하락)를 웃도는 등 24개국 중 그리스, 아이슬란드, 핀란드에 이어 4번째로 감소폭이 컸다. 노동생산성은 일정 시간이 투입된 노동량과 그 성과인 생산량과의 비율을 말하는데 노동자 1명이 일정 기간 동안 산출하는 생산량 또는 부가가치를 나타낸다.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락은 제조업이 주도했다.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위기 전 7.9%에서 위기 후 2.2%5.7%포인트나 주저앉았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은 같은기간 2.5%에서 2.3%0.2%포인트 하락했다. 문제는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가 수출주력산업이 밀집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핸드폰 등 고위기술과 기계, 자동차, 선박 등 중고위기술 업종에서 하락폭이 크다는데 있다.
 
고위기술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위기전 14.5%에서 위기 후 6.8%7.7%포인트 내렸다. 중고위기술 제조업은 같은기간 6.5%에서 0%6.5%포인트 하락했다. 한은 관계자는 "고위·중고위 제조업이 우리나라의 수출을 이끌고 성장을 주도하고 있는 만큼 이들 업종의 노동생산성 변화는 우리 경제와 직결되는 문제"라며 "지속적으로 이들 업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한다면 국제 경쟁력이 약해지는 것이고 우리 경제 미래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생산성 후퇴의 주된 요인으로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약화를 꼽았다. 총요소생산성은 노동, 자본 등 전통적 생산요소를 제외한 기술혁신 등의 부분이 얼마나 생산에 기여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실제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위기 이전 4.6%에서 위기 이후 0.1%로 떨어져 전반적으로 혁신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부진했음을 시사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주력산업이 밀집된 고위, 중고위기술 산업 노동생산성이 떨어졌다는 것은 해당 산업 국제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의미"라며 "향후 제조업 생산성 개선을 위해 혁신촉진, 효율적 자원배분, 구조조정,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등을 통해 총요소생산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하늬 기자 hani4879@etomato.com
  • 김하늬

적확한 기사를 쓰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