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이승국

‘재별개혁’을 외치는 이유

2018-12-06 14:46

조회수 : 7,163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대기업집단 총수나 그들의 2·3세들은 '책임 경영'보다 지배력확보에 더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018년 공시대상 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공정위는 올해 지정된 공시대상 기업집단(자산 5조원 이상) 60개 중 신규 지정된 3개와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농협을 제외한 56개 집단 소속 회사 1884개를 들여다봤다.
 
 
공정거래위원회의 대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발표. 사진/뉴시스.
 
이 중 총수가 있는 49개 집단 소속회사 1774개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21.8%(386개사)였다. 총수 본인이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불과 8.7%(155개사)였다.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은 201518.4%에서 올해 15%대로 추락했다.
 
특히 총수 본인이 전혀 이사로 등재돼 있지 않은 집단은 14(28.6%)에 달했다. 이 중 8개는 2·3세도 이사로 등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총수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386개사를 분석해 보면 주력회사가 46.7%, 지배구조 정점인 지주회사 86.4%, 사익편취 규제대상 회사 65.4% 등이었다. 전체 회사 대비 총수일가 이사등재 비율인 21.8%보다 훨씬 비율이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총수나 그들의 2·3세가 지배력이나 잇속 확보에 유리한 회사에는 적극적으로 이사로 이름을 올리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등재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그대로 보여준다.
 
경영권은 행사하되, 법적 책임은 지기 싫어한다는 것. 재벌개혁을 외치는 이유다.
  • 이승국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