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창경

ckkim@etomato.com@etomato.com

<매트릭스>의 각성한 네오처럼, 세상 모든 것을 재테크 기호로 풀어 전하겠습니다....
(오늘의 재테크)브라질국채 지금이 기회? 코로나만 잡히면

헤알화·채권금리, 확진자수 따라 등락…백신 보급되면 안정 기대

2021-02-19 12:00

조회수 : 18,487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브라질 자산시장이 엇갈리는 행보를 나타내고 있다. 주가지수는 코로나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갔지만 금리와 환율은 아직 제자리걸음 중이다. 다만 금리와 환율이 코로나19 확진자 수에 영향을 받는 분위기여서 조만간 안정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브라질 국채 투자자들이 관심도 커지고 있다.   
 
19일 외신들은 지난밤에 브라질의 코로나 바이러스 누적확진자 수가 1000만명을 넘어섰다고 보도됐다. 코로나 확진자가 1000만명을 넘은 것은 미국과 인도에 이어 세 번째다. 이에 브라질 정부의 부담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 경제부와 중앙은행은 브라질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을 각각 -4.5%와 –4.4%로 전망했다. 경제에서 차지하는 가계소비 비중이 커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브라질에서는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 중단으로 인해 극빈층 비율이 12.8%로 증가하면서 10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보도됐다. 브라질정부는 지난해 4월부터 8월까지 매달 600헤알, 약 12만원씩을 5500만명에게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지급했으나 코로나 장기화로 300헤알로 줄인 후 중단했다. 국회는 이를 다시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는 계속 지급할 경우 나라살림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맞선 상태다. 결국 브라질 경제가 코로나 환자 수 추이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 세계보건기구(WHO)>
 
이는 금융시장도 마찬가지다. 위기 탈출을 위한 유동성 공급으로 전 세계 증시가 동반 랠리를 펼쳤고 브라질도 예외는 아니었다. 보베스파(BOVESPA)지수는 작년 3월 저점에서 2배나 올라 올해 초 12만선을 돌파한 후 현재 횡보하는 중이다. 
 
반면 브라질 국채 금리는 미국에 비해 더디게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국채(10년) 수익률은 펜데믹 공포가 엄습했던 작년 3월말 10%에 육박했다가 여름쯤 6.2%대로 내려앉았다. 이후 10월에 7%대로 올라섰고 11월 한때는 7.8%를 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 국채금리가 본격적으로 상승을 시작한 이후로는 올해 1월22일 하루 반짝 8%를 넘기도 했으나 다시 7% 중반으로 내려온 상태다.     
 
브라질 투자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 중인 헤알화 환율도 금리와 비슷한 움직임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12월 달러당 5헤알 근처까지 안정됐다가 다시 반등해 5.4헤알대에서 거래 중이다. 
 
두 금융지표의 이 같은 움직임은 브라질 코로나 확진자 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확진자 수가 증가했을 때 금리와 환율도 함께 뛰었고 진정되면 동반하락한 것이다. 
 
이에 따라 브라질 국채 투자자들도 당분간은 확진자 수 동향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누적확진자 수는 1000만명을 넘었지만 일일 확진자 수는 지난달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감소세가 이어질 경우 환율은 다시 하락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금리와 환율이 진정세를 보인다면 브라질 국채도 안정을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 하나 기대되는 것은 브라질이 철광석과 석유, 농산물 등을 수출하는 원자재 수출국이라는 점이다. 원자재가격이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브라질 경제도 웃었다. 
 
이런 상황이라면 브라질 국채에 대한 관심도 다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브라질 국채는 채권수익률이 높고 토빈세 면제 혜택이 있어 국내에서도 많이 판매됐다. 하지만 채권수익률이 높아도 경제가 불안할 때 환율이 뛰어올라 이자수익을 환차손으로 다 까먹는다는 약점이 노출돼 외면 받았다. 지금처럼 헤알화와 금리가 안정돼가는 상황이라면 다시 기대감도 커질 전망이다.  
 
브라질 경제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살아 있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대다. 코로나 백신 보급 상황을 지켜보며 투자 시점을 가늠해 보는 것이 좋겠다.   
 
 
김창경 재테크전문기자 ckkim@etomato.com
  • 김창경

<매트릭스>의 각성한 네오처럼, 세상 모든 것을 재테크 기호로 풀어 전하겠습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