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신병남

(사라지는 은행 점포)③(끝)"당국, 디지털 시대 맞는 '소비자 보호책' 내놔야"

전문가들, 점포 축소 규제에 "시대착오적 접근"…"디지털포용·시장 공생방안 필요"

2021-02-16 06:00

조회수 : 2,175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신병남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소외계층 보호를 위해 꺼내든 은행 점포 폐쇄 규제 강화와 관련해 디지털 전환기와 동떨어진 시대착오적 접근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학계와 은행권에서는 점포 수라는 양적 규모에 매몰되기보다 '디지털 포용'과 시장이 공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15일 <뉴스토마토>와 통화에서 "은행 업무가 비대면으로 가고 있는 상황에서 점포 폐쇄 규정 강화는 기본적으로 말이 안 되는, 시대착오적인 접근"이라면서 "은행 거래에서 지점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밑도는 데다 오픈뱅킹으로 한 은행 앱에서 다른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데 고정비용만 늘리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은행들의 수익성은 지난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은행의 지난해 총자산이익률(ROA)은 평균 0.49%로 2019년 0.61%보다 0.12%포인트 줄었다. 2019년은 1년간 0.03%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평균 7.32%로 전년대비 1.21%포인트 줄었다. 0.24%포인트 하락한 2019년에 5배 수준이다. 올해 경영목표로 연이어 업무효율성을 강조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오 교수는 "고령층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정보 격차)에 대해서는 예컨대 문화센터 금융교육과 같은 대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당국이 양적인 측면에서만 접근성을 살피기보다는 모바일 기기 이용 능력이나 디지털정보 역량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을 대안으로 삼을 만하다는 견해다.
 
은행권도 디지털 시대에 맞는 소비자보호 방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STM)를 늘리는 것이 점포 폐쇄 대안으로 추가됐지만, 고객이 직접 처리하는 업무가 다양해진다는 점에서 고령층보다는 사실 젊은 고객에게 맞는 서비스"라면서 "고령층 디지털 소외는 은행에 국한된 내용이 아닌 만큼 전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맞을 것"이라고 했다.
 
실제 은행들은 자사 앱에 대한 접근 편의성 확대를 위한 신규 서비스 마련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근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음성상담 시스템 고도화가 두드러진다. 하나은행이 2016년 출시한 '하이 뱅킹'은 현재 조회, 송금, 공과금 납부, 금융상품 가입, 외환 등에서 30여 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진화했다.
 
신한은행은 삼성전자와 협약으로 인공인간 '네온(NEON)'을 도입해 대고객 컨시어지와 금융상담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모델을 추진 중이다. 업계 최초로 챗봇(채팅로봇)을 도입한 우리은행도 AI 기술을 접목해 상담원처럼 대화가 가능하게 했으며, 국민은행은 지난해 금융에 특화한 한글 자연어 학습 모델인 'KB 알버트'를 개발했다.
 
다른 관계자는 "영업점 마다 내점 고객의 비율이 달라 현실적인 부분이 고려돼야 한다"면서 "대면 채널에 더 용이한 영업도 있기에 점포 폐쇄가 비용 논리만을 투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이 금융소외계층 보호를 위해 꺼내든 은행 점포 폐쇄 규제 강화와 관련해 시대착오적 접근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광화문광장 인근에 위치한 은행 자동화기기(ATM)모습. 사진/뉴시스
    
신병남 기자 fellsick@etomato.com
 
  • 신병남

  • 뉴스카페
  • 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