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기자
닫기
김보선

kbs7262@etomato.com

시장을 보는 또 하나의 눈이 되어드립니다.
(사라지는 은행 점포)①5년새 1천곳 폐쇄 "디지털전환 불가피"

속도조절 나선 금융당국…1~2인 소규모 점포·STM 대체수단 뜰듯

2021-02-16 06:00

조회수 : 4,212

크게 작게
URL 프린트 페이스북
[뉴스토마토 김보선 기자] 전국 은행점포 숫자가 줄어드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사전절차를 강화하라며 제동을 걸고 나섰다. 급격한 점포 축소로 인한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지만 은행들은 회의적인 반응이다. 이미 급변한 금융수요에 맞춰 디지털 전환에 사활을 걸고 있는 만큼 점포 축소는 올해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은행 점포수(지점+출장소)는 2015년 7281곳에서 매년 감소해 작년 말 기준 6406곳까지 줄었다. 5년새 12%가 사라진 셈이다.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가 크게 확대하고 중복점포 정리가 속도를 내면서 이 기간 약 1000곳이 문을 닫았다. 지난해 말 기준 시중은행 점포 수는 농협은행이 1121곳으로 가장 많고 국민은행 972곳, 신한은행 859곳, 우리은행 821곳, 하나은행 651곳 순이다. 
 
이러한 흐름은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신한·국민·하나·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은 1~2월 중 추가적인 영업점 통폐합에 나섰다. 특히 국민은행은 기존 860곳이던 영업점을 806곳으로 줄이는 대신 88곳이던 출장소를 122곳으로 늘리며 1월에만 점포 20곳(972곳→952곳)을 없앴다. 유일하게 1000곳 이상의 점포를 운영 중인 농협은행도 감축에 돌입했다. 2018~2019년 한곳도 폐쇄하지 않고 1136곳(디지털뱅킹센터 포함)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1121곳으로 15곳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경북(3곳)을 포함해 서울(2곳), 경기(2곳), 인천(2곳), 광주(2곳) 등 대부분이 감소했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지점별 실적을 바탕으로 오는 3월 올해 점포 계획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이 제동을 건 것은 점포 축소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2015~2017년 2년간 180곳이 줄었는데 2017~2019년엔 392곳이 줄었고, 지난해에는 1년간 303곳이 축소됐다. 금감원은 은행의 분기 업무보고서에 폐쇄 점포의 사전 영향평가 결과자료를 첨부하도록 하고, 점포신설·폐쇄 등 현황을 반기마다 공식발표할 예정이다. 은행권은 내달부터 '은행 점포폐쇄 공동절차'에 따라 사전영향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소비자 불편이 크다고 판단되면 점포를 유지하거나 지점을 출장소로 전환하는 것을 우선 검토한다. 고객 안내도 강화해 폐쇄일로부터 최소 3개월 전부터 총 2회 이상 고객에게 통지하도록 했다. 
 
은행들은 디지털 전환과 점포 축소를 분리할 수 없다며 회의적인 반응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로 인해 은행 순이자마진이 줄어들고 있고 신생 핀테크 기업들과 경쟁에도 노출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점포를 줄여 비용 효율성을 높이고 디지털로 채널을 다양화하는 것은 은행의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고 항변했다. 
 
그동안은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운영하거나 타 금융사와 창구업무를 제휴하는 식으로 점포 폐쇄에 대응해왔다. 사전절차 강화에 따라 앞으로는 매주 1회 정기 이동점포를 운영, 직원 1~2명을 둔 소규모 점포, 고기능 무인 자동화기기(STM) 도입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STM은 영상통화, 신분증 스캔으로 본인인증을 거쳐 예적금 신규가입, 카드발급, 인터넷·모바일뱅킹 가입 등 창구 업무의 80% 이상을 수행하는 기기다. 
 
해외의 공동점포, 은행 대리점 제도를 국내에 도입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벨기에, 일본, 독일에서 중대형 은행을 중심으로 지점 공동운영이 적극 모색되고 있는데 ATM 공동운영과 더불어 은행 간 공동점포 운영은 고객의 편의와 비용절감 효과가 클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일본은 새로운 점포전략으로 2002년부터 은행대리업제도를 도입해 유통업체와 통신판매점 등 비금융기관을 은행대리점으로 활용하거나 지역 우체국에 업무를 위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보선 기자 kbs7262@etomato.com
 
  • 김보선

시장을 보는 또 하나의 눈이 되어드립니다.

  • 뉴스카페
  • email
  • facebook